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6

[25.2.27] 25년 1,2월 회고록 오늘 간단하게 1월, 2월 회고록을 작성해봅니다. 1월, 2월 역시나 바쁘게 살아가고 있네요. 더 좋은 방향의 생각과 개발을 하기 위해서 기본 개념부터 프로세스를 적립해보려고 많이 노력해보았습니다. 특히나 어떤 개발자로써 더욱 성장을 할까! 나의 목표는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할까? 등등 방향과 목표 설정을 우선순위로 하였고! 그다음으로는 다시 공부 습관을 잡아보려고 노력했습니다! 둘째가 드디어!! 돌이 지나!! 저녁마다 깨는 횟수가 현저하게 줄어들다보니 뭔가를 해볼 수 있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공부 습관이 점차 잡혀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일매일의 TIL를 한 날이면 일일회고와 주간 회고를 통해 한발자국 더 나아가려고 노력하고 있네요! 더욱 발전하는 그리고 발전한 걸 나눌 수 있으며,도움을.. 2025. 2. 27.
[Android] Navigation Component 살펴보기 오늘은 Navigation Component를 살펴봅니다.서론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화면 간 이동 로직은 사용자 경험의 핵심 요소입니다. 초기 Intent 기반 화면 전환부터 Fragment Transaction, 그리고 현재의 Navigation Component까지 모든 변화를 지켜봐 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Google이 Jetpack의 일부로 제공하는 Navigation Component의 실제 사용 경험과 패턴을 공유해보려 합니다.Navigation왜 Navigation Component인가?기존 화면 전환 방식(Intent, FragmentTransaction)은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분산된 네비게이션 로직: 앱 전체에 화면 전환 코드가 흩어져 있어 유지보수가 어려움타입 .. 2025. 2. 20.
[GitHub] 개인용 엑세스 토큰 관리 안녕하세요. 중곰입니다. 오늘은 GitHub에서 개인용 엑세스 토큰 관리에 대해간단하게 살펴보려고 합니다. 정말 오랜만에 Git을 활성화 하기위해작년에 비행기 소음을 내던 기존 노트북을 청산하고!새로운 노트북으로!!Git에 Repo 만들고!!코드 Pull!! 아이구.. 오류 발견!! " mac git push remote permission to ~ " 오마이갓!! 검색검색!! 그러나!검색한 결과에서는 Git 주소에 개인 GIt Name을 추가하라는 답!아무리 따라해도! 안됨..뭐지.. 했다..  그러다가!개인용 액세스 토큰 관리를 다시 설정해야하는걸 까먹었습니다. 그럼 여기서!개인용 액세스 토큰 관리란!?!  명령줄 또는 API에서 GitHub에 인증할 때 암호 대신 personal accesstoke.. 2025. 2. 17.
[Android] LiveData vs StateFlow: 안드로이드 상태 관리의 진화 안녕하세요. 중곰입니다. 오늘은 ViewModel에서 데이터 처리 시 변경 데이터를어떻게 관찰하고 동작하는지를 볼 수 있는LiveData와 StateFlow를 살펴볼려고 합니다. 개념 정도를 살펴보면서 어떤 형태이며언제 사용하면 좋은지까지 살펴보려 합니다.먼저 LiveData와 StateFlow에 대해 간단히 살펴 봅니다.LiveData?LiveData관찰 가능한 데이터 홀더 클래스이며, 수명주기를 인식함액티비티, 프래그먼트, 서비스 등 다른 앱 구성요소의 수명 주기를 고려수명 주기 인식을 통해 LiveData는 활동 수명 주기 상태에 있는 앱 구성요소 관찰자만 업데이트쉽게 말해 데이터가 변경될 때 화면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해주는 마법 상자Observer 클래스관찰자의 수명주기가 STARTED or RES.. 2025. 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