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이론3 [Clean Architecture] Part 1 - Introduction 시작하기에 앞서 클린 아키텍처에 대해 학습하면서 적는 글이라 미숙한점 많은 양해 부탁 드립니다. 학습하면서 내용은 보충 및 수정할 예정입니다. 📝 Part1 - Introduction • 학습 목표 👉 클린 아키텍처 배경 👉 클린 아키텍처 ? ✏️ 내용을 작성하기에 앞서, 클린 아키텍처를 공부함으로써 이것이 얼마나 나에게 유용한가, 프로젝트에 적용함으로써 얼마나 가치가 있게 될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작성합니다. 전반적으로 클린 아키텍처 How-To을 전달하기는 아니라는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클린 아키텍처 배경 📍 클린 아키텍처는 유명하신 로버트 C. 마틴 (Uncle Bob) 이 쓴 글로 부터 시작했습니다. 이 분은 다른 책도 많이 썼습니다. 애자일 프랙티스, 클린 코드, 객체 지향 설계 등등.. 2021. 9. 22. [이론]MVVM 디자인 패턴 1. 디자인 패턴이란? 개발 시 자주 나나타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개발 과정에서 발견된 설계의 노화우를 축적하여 이후 재 이용하기 좋은 형태로 특정 규약을 묶어서 정리한 것 - 위키백과 즉, 좋은 코드(확장과 수정에 용이, 유지보수성 좋음)를 설계하기 위한 설계 디자인 방법론이다. 디자인 패턴 분류는 생성/구조/행동로 나뉘어 지며, 종류는 다양하다. 그 중에 MVVM 패턴을 살펴본다. 2. MVVM 패턴이란? " 하나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서 (View)의 개발을 비즈니스 로직(Model) 또는 백엔드 로직으로 부터 분리시켜서 View가 어느 특정한 모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음 "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벤트-기반 프로그래밍을 단순화하기 위해 발명 됨 .. 2021. 6. 12. 객체지향 간단 정리 회사에서 혼자 개발을 하다보니, 나의 코드는 내 마음대로.... 나의 코드는 어디로? 가는건가? 의문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래서 나의 코드를 수정하기 위해서 처음 부터 다시 출발하고자 이 글을 시작하면서, 나의 코드의 질을 높이고자 하기 위해 객체지향 5대 원칙을 간단히 적어본다. 객체지향 5대 원칙 SRP (단일 책임 원칙) 클래스, 함수 등 은 단 하나의 책임(기능)을 가진다. OCP (개방-패쇄원칙) 기존의 코드 변경하지 않고 기능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 자주 사용되는 문법 인터페이스 (Interface)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자식 클래스는 부모클래스에서 가능한 행위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DIP (의존 역전 원칙) 의존 관계를 맺을 때, 변화하기 쉬운것 보단 변화하.. 2021. 2. 4. 이전 1 다음 반응형